요즘 안 그래도 어려운 건설 현장마다 공사비가 너무 올라 아우성이죠. <br /> <br />정부가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2026년까지 공사비 상승률을 연간 2% 안팎으로 관리하고, 내수 경기 보강을 위해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조금 전 정부 서울청사에서 있었던 최상목 경제 부총리 모두 발언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최상목 /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] <br />오늘 새벽 이란이 이스라엘을 향해 미사일 공격을 단행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로 인해 중동 지역 긴장이 고조되며 글로벌 증시와 국제 유가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높은 경계감을 갖고 금융시장과 실물경제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는 한편, 필요 시 관계기관 공조 하에 신속히 대응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조금 전 발표된 9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.6%로, 42개월 만에 1%대에 진입하며 하향 안정세가 자리잡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국제유가 변동성 확대, 이상기후에 따른 농산물 가격 상승 등 불확실성이 상존하므로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물가 안정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는 수출 호조에 힘입어 장기적인 회복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9월 수출이 588억 불로 올해 최대이자 역대 9월중 1위를 달성하면서 12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와 16개월 연속 무역수지 흑자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내수의 경우 아직 상대적으로 회복에 속도가 나지 않고, 부문별로도 온도차가 있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설비투자는 하반기 들어 회복이 가시화되고 있으나, 건설은 작년 수주부진이 시차를 두고 영향을 주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소비는 서비스 부문이 3개월 연속 증가하며 회복조짐이 있고, 실질임금 상승폭 확대로 소비여력이 개선되는 흐름입니다마는 누적된 부채부담, 지방인구 유출과 고령화 등 구조적 요인도 함께 소상공인, 지방 등 취약한 부문의 회복을 제약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전 부처의 역량을 결집하여 내수 각 “부문별 맞춤형 처방”을 통해 내수 회복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은 ‘투자 활성화 장관회의’를 발족하여 투자 회복을 가속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합니다. <br /> <br />투자의 회복속도를 높이기 위해 계획된 사업의 실행을 촉진하고, 기업의 투자여력을 보강하는 등 투트랙으로 지원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4분기 내 약 24조원 규모의 현장대기 사업 가동을 지원하고, 20조원 규모 민·관 합동 건설사업에 대한 분쟁 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00208414806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